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231122 (Android) Intent에 정보를 추가하여 액티비티 전환하기 intent.putextra 를 이용하여 다양한 값을 넘길 수 있다. intent.getStringExtra(**"strkey"**) 처럼 값을 이용할 수 있다. 2번째 파라미터를 넣으면 해당 키의 값이 없는 경우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 클래스를 putextra를 이용하여 전송할 때 (dto등) 직렬화가 필욯다. 직렬화 : 객체가 가진 데이터 부분을 바이트 형태로 일자로 정리하여 데이터 부분만 전송한다. 다른 플랫폼에서 메소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데이터만 전송이 필요하다. intent.getSerializableExtra 를 통해 값을 다시 dto에 담을 수 있다. 다시 가져올 때에는 강제캐스팅이 필요하다. 인텐트의 종류 명시적 인텐트 : 액티비티 .. 더보기 231121 (JSP) 실습용 프로젝트 생성시 초기 준비 빌드패스 - project facets에서 자바 버전 확인 javaEE에서 deployment…로 web.xml 생성 configure에서 maven 프로젝트로 변경 pom.xml에 dependencies를 추가 tomcat 서버에서 add and remove를 통해 서버에 구동될 프로젝트 선택 server.xml에서 Context path를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여 데이터 베이스 작업을 하고 관리하는 도구 라이브러리 모음 JDBC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능 ORM(object-Relational Mapping)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자바의 객체 형태로 사용하는 기법 데이터베이스 연동 관리(Connection Po.. 더보기 231121 (Android) Activity & Intent Activity 앱을 실행했을 때 보여지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화면이 여러개 = Activity 가 여러가지이다. 종류 화면 전체를 가득 채우는 액티비티 다이얼로그 형태의 액티비티(다른 액티비티 상위에 동작하는 액티비티) 액티비티 클래스 상위에 Activity - FragmentActivity, AppCompatActivity 등이 있다. 액티비티는 직접 생성할 수 없다. Manifests.xml에 명시된 액티비티만 생성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액티비티의 수명주기 실행 Resumed : 액티비티가 화면에 보여지고 사용 가능한 상태 일시정지 Paused : 액티비티가 다른 액티비티에 의해 숨겨진 상태 중지 Stopped : 액티비티가 보이지 않고 중지된 상태 수.. 더보기 231120 (JSP) forward(request) servlet이 받은 요청을 다시 다른 servlet이나 jsp에 전달한다. URL이 전달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redirect(response) 웹 브라우저에게 새로운 URL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웹 브라우저는 새로운 URL로 새로운 request를 보내고 서버가 이 요청에 응답한다. 사용자가 실제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여 주소표시줄의 URL이 변경된다. resp.sendRedirect("list") : URL을 list로 바꾸고 다시 요청을 실시하도록 한다. url 맵핑의 방법 String으로 하나의 문자열을 url 맵핑으로 사용 “/list” String 배열을 이용하여 맵핑 name=”name”, urlPatterns = {”1”,”2”} /를 제외하고.. 더보기 231116 (JSP)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자바 코드 사용을 JSP 내에서 태그 형태로 사용하게 해준다. maven repository에서 jstl을 찾아서 maven 형태로 프로젝트 dependencies에 추가해 준다. JSTL의 다양한 기능 ${key} : 해당하는 규칙은 request.getAttribute("key") : 반복문을 작성하는 태그이다. ${dto.userName} : 해당 요소에 포함된 정보도 가져올 수 있다. dto에 userName이라는 요소가 있는 경우 가져오게 된다. mybatis sql문을 문장, 단어 형태로 사용하도록 해 주는 매개체 Connection의 동적 로딩 Class.for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ur.. 더보기 231116 (Android) Table Layout Grid 방식이라고도 한다. 표의 형태로 화면을 분할한다. ScrollView 스크롤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뷰를 이용하여야 스크롤이 가능하다. ScrollView : 수직 스크롤 하는 뷰 HorizentalScrollView : 수평 스크롤 하는 뷰 NestedScrollView : 그런 기능이 있다. 스크롤 뷰는 단 하나의 자식 요소만 가질 수 있다. 스크롤 뷰는 여러 기능이 있다. getScrollY : 현재 스크롤 Y좌표를 가져온다. scrollTo : 특정 스크롤 좌표로 이동한다.(즉시) smoothScrollTo : 특정 스크롤 좌표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며 이동한다. btm_nav.setOnClickListener(v ->{ Log.d("Scroll위치", "getScr.. 더보기 231115 (JSP) request의 요소 getServerName() : 서버 도메인 이름 getServerPort() : 서버의 포트번호 getServletPath() : 서블릿 주소 getRequestURL() : 요청하는 URL, URL이 URI의 상위 정보이다. getRequestURI() : 요청하는 URI requestDispatcher : 요청 객체(request)로 초기화되며,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다시 페이지로 넘길지, 처리 결과를 얻어오는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러(Servlet)에서 페이지를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req.getRequestDispatcher(”전환할 페이지 파일주소")로 전달할 페이지 주소를 저장한다. rd.forward(req, resp)를 이용하여 요청을 중계한다. 중계할.. 더보기 231115 (Android) 중첩 분할하기 안드로이드 뷰의 속성 xml의 id는 해당 xml 파일에서 중복 불가능하다. wrap content : 위젯이 가지는 기본 크기. 위젯의 자식 요소가 커지면 같이 커진다. 뷰의 간격 설정 margin : 뷰의 바깥쪽 여백을 설정할 수 있다. padding : 뷰의 안쪽과 컨텐츠 사이의 여백을 설정할 수 있다. 뷰의 가시성(visibility) visible : 보인다. invisible : 공간을 차지하고 보이지 않는다. gone :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다. 그래비티 (gravity) 내부의 컨텐츠를 어떤 방향으로 밀착할 것인지 결정한다. bottom|right 처럼 | 기준으로 좌우에 여러 요소를 지정할 수 있다. layout_gravity : 부모 요소에서 나의 위치를 변경..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